top of page

여기 뿌리를 내리지 않는 식물이 있다.

식물이란 본디 정착하여 뿌리를 내리고 부동하는 대신 씨앗을 흩날려 번식하는 것이 당연한 섭리있데 그것에 반하는 식물이 존재하는 것이다. 씨 없는 수박도 있고, 노란 수박도 있는 세상에 그리 놀라운 일은 아니지만 자연 발생적인 진화가 흥미롭다. 

 오랜 기간 식물을 모티프로 작업해온 작가 홍지희에게 스페인 이끼spanish moss는 자신과 비슷한 처지임을 본능적으로 직감한다.

바람에 나부끼는 기괴한 형상의 이 식물은 땅위에 뿌리를 내리지 않고 공중에 유영하듯 나무와 나무 사이를 오가며 번식하고, 자라난다.

특별한 보살핌 없이 어떠한 환경에서도 별 무리 없이 잘 자라는 특성 때문에 약간의 볕과 수분, 그리고 공기만이 생존의 필요요소일 뿐이다. 

 

홍지희의 지난 작업들은 주로  작가가 직접 식물에 유동성을 부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배회하는 풀>(2014)이나 <부유하는 돌>(2013),<Flow>(2011)가 바로 그것이다. 노끈으로 얼기설기 엮은 풀들이 전시공간을 가득 메우고, 표면이 물결 모양으로 굳어진 시멘트들은 바퀴가 달려 무게에 비해 쉽게 이동할 수 있는 능력을 얻는다. 이렇듯 식물의 형태를 가장한 인공적인 무언가들이 작가에 의한 타의적인 진화를 거듭한 결과 그것들은 전시장을 배회하며 관객과의 접촉을 기다린다. 

 

  그러나 스페인 이끼를 접하면서, 그녀의 작업은 유동성의 부여를 넘어 ‘번식’의 개념으로 다가간다. 그것은 때마침 시작하게 된 타지 생활과도 연관을 갖는다. 우연히 접하게 된 스페인 이끼와 제주도의 작은 마을 섬달리에서의 생활은  예상밖에 삶의 만족을 불러일으켰다. 삼달리는 관광지가 아니여서 대부분의 주민들이 귤농사를 생업으로 삼고 있으며, 외부인의 행적도 그만큼 드문 곳이다. 그곳 주민들에게 이방인은 어차피 떠날 사람이었고 그녀 역시 육지에서 온 이방인에 불과했다. 그곳의 주민도 아니고, 관광객도 아니며, 그렇다고 완전히 이주한 것도 아닌 자신의 처지를 직시했지만 작가는 전에 없던 만족감을 작업을 통해 번식시켰다. 이제 곧 계약기간이 만료되어 사라지게 될 임대 공간에서도 끊임없이 자신의 공간 확보에 여념이 없다. 마치 스페인 이끼가 생존과 번식을 위해 최소한의 필요조건을 만족시키기만 하면 되듯, 작가는 이것 저것 쌓아두며 자신의 공간을 채워갔다. 딱히 어떤 실용적인 용도가 있는 것도 아니고 미관상 아름다움을 전해주는 꽃의 역할을 하는 것도 아닌 그것의 공중에 부유하며 헝클어져 자라나는 모습은 꽤 기괴하고 낯설다. 그럼에도 공간을 차지하여 영역을 넓혀가는 것은 스페인 이끼가 유일하게 생존을 증명하는 방법이기도 하다. 어쩌면 작가 역시 이처럼 작업을 증식하는 이유도 이방인으로서 불가피한 이주에 대한 저항인지도 모른다. 늘 작업의 일부를 차지하고 있는 거주의 욕망, 정착의 욕구는 작가 홍지희에게 있어서 오히려 증가하면 증가 할 수록 그와는 반대의 모습으로 나타났다. 이전과 비교해 볼 때, 앞서 말한 <배회하는 풀>(2014) 처럼 작가 자신과 작업이 동시에 ‘어디서든 정착할 수 있는 형태’로 변형되어 온 것이다. 즉, 다시말해 어디서든 정착할 수 있는 형태는 곧 언제든 떠날 수 있는, 혹은 어디로든 떠날 수 있는 형태였던 것이다. 어디에도 뿌리내리지 않고 어디서도 잘 살아날 수 있는 능력. 이는 때때로 자유를 동반하지만, 결과적으로 돌아갈 곳이 없는 것에는 자유도 존재할 수 없다. 그렇기 때문에 이방인의 처지를 알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끊임없이 사물을 채우고 사람을 사귀고, 영역을 넓히는 것은 동물적인 생존에 대한 욕구이자 작가 스스로 가지고 있는 거주의 욕망이 은연중에 내비치고 있는 것이다. 기대 이상으로 만족스러운 삶의 그림자에는 떠나야한다는 불안감이 자리잡고 있다. 작가는 불안을 덮어두려 그것을 토양으로 삼아 그 위에 뿌리 없는 식물을 심었다.  

 

제주도에서의 지난 전시 <자라나는 생활>에서 전시 기간 동안 작가는 작업물의 양을 점점 늘려 전시 공간을 채워가는 것에 중점을 두었다. 이렇게 계속해서 증식하는 동안 전시장 역시 변화한다. 전시가 종료되었을 때에만 완성된 형태를 가늠할 수 있기에 전시 ‘기간’ 자체가 가장 중요한 요소가 되지만, 사실상 홍지희에게 완성이란 개념은 무의미하다. 계속해서 같은 방식으로 증식되며 변화하기 때문에 이는 생존의 증명일 뿐, 완성이란 있을 수 없다. 

 

글 - 이슬비

(mistymisty.rain@gmail.com)

 

 

There are plants that do not take root.

Originally plants put down roots and fluttering seeds instead floating around but they exist opposite to that fact.

Maybe it’s not that surprising there's seedless watermelons, yellow watermelons etc. 

But when you focus on spontaneous evolution, it’s interesting.

Hong Ji Hee who produced a lot of plant motif work for a long time, 

intuited instinctively that Spanish moss and herself is in similar circumstances.

This plant looks like bizarre features fluttering in the wind, does not root on the ground. Just floating between trees, fluttering instead.

 

 They only need a little bit of sunlight, water and air to survive. Hong Ji Hee gave liquidity to plants for the past works <Moving Plant>(2014), <Floating Stone>(2013), <Flow>(2011). Grass made of complicated weaved strings filled whole exhibition space, hardened surface cement in the shape of waves with wheels can move around easily. Artificial things looks like plants against artist's will, they moving around gallery space and waiting for contact with the audience.

 

 But when Ji Hee gets to know Spanish moss, her works getting close to the concept of breeding beyond the grant of liquidity. And that related with her new life as a stranger in opportune moment. Spanish Moss and life in Sam Dal Li raised her a satisfaction of life without any expectation. Sam Dal Li is not tourist attraction spot, lot of people farming tangerine to live, so it’s just a rare track of an outsider. For them strangers are people who will leave anyway, she was one of stranger from another land. Knew her circumstances that she is not resident, not tourist, not moved completely but she breeds a feeling of satisfaction 

Soon the lease period will expire and disappear but she is concentrate to secure her own space filling and laying things like Spanish Moss. Which only needs basic things to survive and breed. Not very practical use, not very beautiful looking like flowers but it grows tangled floating around in the air expanding space because it’s the only way to demonstrate surviving. Possibly the reason of proliferation of work can be a resistance of inevitable emigration as stranger. Desire of residence and settlement always takes part of work. For Hong Ji Hee it appears opposite form as it increases. Compared to past work, like <Moving Grass>(2014), both artist herself and work transformed to ‘form that can settle down anywhere'. In other words, form that can settle down anywhere can be form that can leave anytime, anywhere. Ability to live without root, sometimes it comes with freedom but as a result freedom can not exist on things with no place to go back.

So the reason of expanding the scope by filling using things,

get long with people endlessly is can be both animal needs and desire of residence.

There’s anxiety settled down on the fulfilled expatiated shadow of life. She planted a plant used that anxiety like a soil to cover the unrest.

 

During last exhibition <Growing Days> in Jeju, she focused on filling gallery space as gradually increasing the amount of work, Exhibition space is changing while this continues to multiply. ‘Period’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but for Hong Ji Hee concept of completion is meaningless because it is possible to measure the format when the exhibition completed. There’s no completion as it acquired and changing in the same way continually.

 

This is proof of life.

 

 

번역 - 김수요

(aoraa33@naver.com)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