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그러다 잊혀지는,

불능의 정원 

2014.07.26 - 08.06

 

<-동영상보기

 

오갈 곳 없이 떠도는 짐짝이 잠시 동안 머무를 곳

 

가지고 있어봐야 짐인 걸 아는데, 버릴 수는 없는 무엇에 대한 이야기

Story #1. 관계 형성에 필요한 것

 

전시장에 들어서면 사방의 창문들을 가로막은 검은색 천들이 밖에서 들어오는 바람에 의해 관능적으로 펄럭거린다. 흐느적거리는 검은색 천이 그대로 빛을 흡수해 실내는 조금 어둡게 느껴지지만, 시간의 경과에 따라 자연스럽게 빛이 바뀌는 모습이 꽤 서정적이다. 그리고 전시 공간을 메우는 인공 풀들이 우리를 불능의 정원으로 안내한다.

낮과 밤의 모습이 사뭇 달라 밤이 되면 설치된 조명들이 몽환적인 느낌을 부가시켜준다. 이는 작업의 특성상 관객이 작품에 동화되어 감상의 포인트가 ‘어떤 기분’을 불러일으키는 것에 집중된다면, 홍지희의 작업 역시 그런 점에서 느리게 관찰하고 천천히 즐기는 것이 맞다. 오래 봐야 아름답고, 비로소 느껴지는 작업의 백미는 하찮은 것이 아름다워 보일 때와 비슷하다. 흥미로운 것은 자못 태연해 보이는 작업의 태도와 달리 이번 전시에서 작가는 자신의 창작물이 처해진 위치와, 앞으로의 행방에 대한 떨쳐낼 수 없는 의구심이 근원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전시장을 그득 메우는 풀들 사이로 보이는  <생각보다 많이 넣을 수 있는 포대>(2014)는 이번 전시의 시발점이자 이미 한번 죽은 사물임이 분명했다.

 

 

이 <생각보다 많이 넣을 수 있는 포대>는 누군가에게는 쓸모 없고 무의미한 행위의 결과물로 짐짝처럼 여기저기를 떠돌며 갈 곳 없는 처지를 벗어나지 못한다. 1년여를 학교에 방치해야 했던 날들과, 이름도 모르는 후배 남자애의 ‘짐 좀 빼달라’는 말에 세상이 야속할지어도 늘 눈치 없게 구석을 차지 하고 있었다. 이 젊은 작가가 예술을 한다는 것, 평범한 사람이 예술가가 되려는 행위는 이미 오래 전부터 ‘천재’나 ‘유명인사’등의 신화를 벗어 던지고 오히려 일상적인 것이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누군가에게 이것(작품)들은 자리만 차지하는 처치 곤란한 쓰레기이자 짐 덩어리였다. 그것이 가장 두드러지게 느껴지는 부분은 부득이 작품의 보관을 부탁해야 할 때와, 이동 중에 주로 발생하는 에피소드들에서 찾아 볼 수 있다. 조금 식상한 이야기이지만 작품을 감상할 준비가 되지 않은 이들에게 -극단적이지만, 이를 테면 갤러리가 아닌 길거리에 버려진 <생각보다 많이 넣을 수 있는 포대>를 상상해보라- 이것을 작품으로 받아들이기를 요구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그렇기 때문에 이 작업은 누군가의 시선을 한 몸에 받고 있을 때, 주목 받을 때, 갤러리에 배치되어 사람들이 감상할 준비가 되어 있을 때 비로소 빛이 난다. 그제서야 자신의 위치를 찾은 듯 위용을 가다듬어 관객 앞에 나설 수 있다. 이는 관객과 작품의 관계 형성에 앞서 작가와 작품의 관계에서도 비슷한 연결고리를 갖고 있다.

 

 

Story #2. 불가피한 유동성

 

행방이 묘연해질 두려움은 자신이 있어야 할 곳, 거주의 욕망을 전적으로 내포하고 있다. 이것은 작가의 유년기의 기억과 맞물려 개인적인 서사로 환원된다. 정체성이 채 확립되기 이전의 어린 시절에 잦은 이사는 거주지의 욕망을 은연 중에라도 드러내기 마련이지만, 작가는 이를 식물에 유동성을 부여하는 것으로 나타냈다. 식물 중에서도 아무런 특징이 없는 ‘풀’이 주를 이룬다.

노끈으로 얼기설기 만들어진 그것은 흡사 풀의 형상을 하고 있고, 돌처럼 굳혀진 시멘트는 바퀴를 달고 있다. <배회하는 풀>(2014)과 <부유하는 돌>(2013)의 이야기이다. 특히 <배회하는 풀>은 센서가 달린 장난감 자동차가 풀을 머리에 이고 있는데, 여기저기 제멋대로 전시장을 휘젓고 다니다가도 가끔 센서의 오작동으로 인해 움직임이 머뭇거리는 모습이 꽤 멍청해 보여서 실소를 자아낸다. 또한 표면이 물결처럼 굳혀진 시멘트는 말 그대로 ‘인공적인 자연미’를 가득 담고 있지만 강남시내에 성형외과 광고보다는 훨 자연스럽다. <flow>(2011)는 정사각형에 가까운 그리 크지 않은 시멘트 조각의 윗면이 물결처럼 마무리되어 있다. 조각조각 나눠져 있지만 모양을 잘 맞춰보면 길게 하나의 물줄기가 형성된다. 물론 이들도 전부 바퀴가 달려있어 무게에 비해 이동이 수월하다. 인공적인 자연미, 아니, 수공예적 요소가 더 많다고 해야 할까? 어쩌면 ‘자연적인 인공미’라고 하는 게 맞는지도 모르겠다. 

불안정한 처지에서 나름의 생존 방식 -움직이거나 빛을 내는 것- 을 획득한 작업들은 작가가 어린 시절을 회상하는 방법이기도 하다. 이는 하찮은 물건들이 작품으로 탈바꿈하는 것과 형상은 자연에서 본받았으나 본질이 변질된 것은 어떤 의미에서는 훼손일 수 있겠으나, 홍지희의 작업과 같은 경우는 진화에 가깝다. 물론 사물의 입장에서 보자면 작가에 의한 타의적인 진화이다.

 

 

Story #3. 그럼에도 불구하고, 잊혀지지 않기를.

 

이렇듯 작가 홍지희의 작업은 돌이나 풀과 같이 자연의 모습을 표방하고 있으나 바퀴를 달거나 장난감 자동차에 부착하여 부동(不動)의 본질을 흐트러트린다. 거기에 언제든 이동이 수월한 형태를 염두 해 두고 있고, ‘가변 설치’라는 말답게 전시될 공간의 크기에 맞춰 작품의 면적을 탄력 있게 조율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즉, 생존을 위해 진화를 거듭한 상태처럼 언제든 다음 전시장소로 이동할 수 있게끔 최적화된 상태를 자처한다는 것이다.

창고에 방치되어 있는 짐들은 언젠간 사용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는 잠재성을 갖는다. 그러나 이 잠재성은 말 그대로 현재는 사용가치가 제로인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전시 때문에 작품의 연이은 이동은 오히려 작품의 ‘현재 사용 가치’를 말해주는 척도일지도 모르겠다. 그리고 작가가 가장 원하는 상태야 말로 늘 유동적인 상황, 자신의 작업이 한낱 짐짝이 아닌 작품으로 보여질 수 있는 상황이다. 이는 작가뿐만 아니라 작품 자체의 생존과도 연결되어 있다.

 

 

Story #4. 부재중인 주인공

 

[그러다 잊혀지는, 불능의 정원]에서 새롭게 발화(發話)하고자 하는 것은 은밀하게 드러나는 작업의 이면이다. 전시장 자체가 갈 곳 없이 떠도는 짐짝이 잠시 동안 머무를 곳으로 선택되었고, 나는 -기획을 주도하면서- 작업에 과도한 의인화를 시도했다. 마치 연극무대처럼 꾸며진 이곳은 작업과 관객의 교감에 초점을 맞췄다.

낮과 밤의 설치전경은 가치의 전복을 긍정적으로 뒷받침한다. 전시장을 감싸는 검은 커텐과 밤의 경계가 무너지면서 인공 풀들 속에 숨어 있던 조명이 더욱 빛을 발한다. 그러면서 낮에서 밤으로 바뀌는 시간성은 절대성을 갖고 있지만 작업은 그 시간의 경과에 따라 서로 다른 모습으로 다가온다. 여기서 주인공은 상대에 의해 -상대방이 있어야만 확인이 가능한- 존재의 가치를 찾는 작품과 관객, 그리고 작가 자신이다.

 

 

이슬비(전시기획)

 

 

IMG_9233.JPG
IMG_9204.JPG

욕망의 정원에 욕망이 번식하고 있었어요.

풀과 꽃은 위로, 옆으로 면적을 넓히며 

욕망의 공간을 채워나갔죠.

잊고있다 생각나서 욕망의 정원에 가보니 

황무지만 남아있었어요.

그들이 떠난건지 누군가 떠나게 했는지 

뭐가 됬든 허전하네요.  - 작가노트

 

Hong, Ji-Hee’s Private Exhibition

 

And being forgotten, disable garden.

The place where a burden wondering without any destination can stay for a moment,

The story about a thing which can’t be thrown away even I know it is only a burden.

  

Story #1. What is needed forming a relationship

When entering the exhibition hall, we see that the black cloths closing the all windows in all directions flutter sensually by the wind from outside. As the gently fluttering black cloths absorb the light, so the hall is felt somewhat dark, but the scene that the light naturally changes as the time passes is very lyrical. And the artificial grass full of the exhibition space leads us to the disable garden. 

The daytime landscape and the night landscape are very different. When a night falls, the installed lightings add dreamy sense. If the work’s characteristics lead the audience be assimilated in the works and their appreciation point focuses on raising ‘a specific feeling’, it might be right that Hong, Ji-Hee’s works should be slowly be observed and appreciated from that sense. The best component of her works which can be felt after long appreciating them is similar to the situation when a trivial thing is felt beautifully. The interesting fact that the artist’s worry and question about her creatures’ current position and future direction to go are set as the foundation of the works of this exhibition contrary to her seemingly calm attitude toward the works. It is clear that the work 'Gunny to contain more things than the expectation' is the start point of exhibition and also an object already dead once. 

This work, <the gunny to contain more things than the expectation> represents the outcome of useless, meaningless behavior, and doesn’t go out of the position of burden wondering without any destination. The burden had to be neglect the burden in a school for about one year and occupied a corner tactlessly all the time even though the artist felt the world’s cold heart at hearing an unknown junior boy’s statement ‘take your burden away’. Even this young artist knows that the behavior pursuing an art, that is, the behavior an ordinary person intends to become an artist becomes a common goal rather beyond the legend of becoming a ‘genius’ or ‘celebrity’ from a long time ago already, these works are considered as an intractable garbage and burden to a man. The part the most significantly felt such cold-hearted attitude can be found the situation when the artist asked for keeping the works inevitably and the episodes which are mainly brought during their transportation. Though it is a somewhat trite story, the works can be seen as a bag to the people not being prepared for appreciating them. For example, imagine a <gunny to contain more things than the expectation> thrown away on a street, not a gallery which they are exhibited. It is almost impossible to request such people to accept them as art works. So, this work comes to shine when it is paid attention from someone, and is focused, and is arranged in a gallery and people prepare for appreciating it. And then, like that it can find its right place, it can grandly appear before the audience. That has a similar connection chai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rtist and the work prior to form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udience and it.

 

Story #2. Inevitable Fluidity

The fear against the where-about may be not known fully contains the desire of residence in the place where we should stay. This fear is transformed into a private narration with meeting the artist’s childhood memories. The influence of frequent moves in her childhood when her identity was not established yet naturally reveals the artist’s desire for residence place, and the artist expressed her desire in endowing the fluidity to plants. Of various plants, the ‘grass’ having no special features is mainly expressed in this work. 

It entangled with some strings is like a grass, and the hard cement like a stone has wheels.

They are the stories about the work <Wondering Grass>(2014and the work <Floating Stone>(2013). Especially the work <Wondering Grass> describes a sensor-operated toy car covering some grass, and the car freely runs around in the exhibition hall and sometimes shows its hesitating appearance due to its sensor’s wrong operation, and the stupid appearance induce the audience to laugh at. Besides, the cement hardening its surface like a wave is literally full of ‘artificial natural beauty’, but it is more natural than any advertisements of plastic surgery clinics located in Gangnam down-town districts. The work, <flow>(2011)is composed of some cement pieces alike to the rectangle shape whose surface is finished like a wave. The pieces are separated, but at arranging their shapes, we can form a long stream shape. Of course, each cement piece has some wheels, and can be easily transported comparing to its weigh. Do I say that this work has more artificial natural beauty or handcraft components? Maybe ‘natural artificial beauty is more appropriate term.

The works acquiring their own survival way in some precarious position-moving or shining way-are also the way that the artist remind her childhood. In some sense, that trivial objects are transformed into art works and their essences are changed although their shapes are alike those of Nature can be considered as a destruction, but Hong, Ji-Hee’s works are close to the evolution. Of course, seeing from the objects’ position, it is the evolution developed by the artist against their will.

 

Story #3.  In spite of that, the objects hope that they will not be forgotten.

Like that, the artist, Hong, Ji-Hee’s works have some natural appearances like stones or grass, but disturb the essence of non-movement by attaching some wheels on them or attaching them to toy cars. Her works always think over the shapes easily to move any time, and have the features flexibly adjust their sizes according to the space to exhibit them suitable for the term of ‘variable installment’. That is, like a state having continually evolved for the survival, the works keep the optimum states to be transported into a next exhibition place any time.

The burdens neglected in a warehouse have the potential that they may be used some day. However, the potential literally implies the zero of use value currently. A work’s consecutive movement for exhibitions may be a scale revealing the work’s ‘current use value’. And the situation that the artist wants the most is the variable situation all the time, that is, the situation that her works are seen as art works, not merely burdens. That connects the work’s survival as well as the artist’s survival.

 

Story #4.  Absent main characters

What the artist intends to newly talk in this exhibition of [And being forgotten, disable garden] is the back side secretly revealing her works. The exhibition hall is chosen as a place the wondering burden without any destination to stay for a while, and I tried to boldly personify the works by leading the exhibition plan. This place decorated like a play stage is focused on the commune between the works and the audience. 

The installed panorama unfolding the daytime and night’s landscapes positively support the overturn of values. The black curtains wrapping the exhibition hall breaks the boundary of night down and the lightings hidden in artificial grass shines more brightly. Then the time feature changing from the daytime to the night has the absoluteness, but the works approach to us as the time passes. Here, the main characters are the works, the audience and the artist, herself seeking fork the value of existence which can be identified by the other’s existence

 

 

Lee, Seul-Bi (Exhibition Planning)

 

bottom of page